하드웨어/Hardware Theory2021. 10. 10. 15:28

1.커페시터(=콘덴서)란..

  콘덴서란 간단하게 전압을받아 충전을한후 전류를 밀어주는 작용을하며 직류는 흐르지 못하게 하지만 교류는 통하게 하며 용량이 클수록, 그리고 주파수가 높을수록 잘 통하게 된다. 용량 단위는 F(패럿)이지만 그 단위가 너무 커서 pF(피코), uF(마이크로)의 단위를 주로 쓴다. pF 단위의 콘덴서는 세라믹 콘덴서, 적층 세라믹 콘덴서, 마이카 콘덴서가 있고 음질은 마이카 콘덴서가 가장 좋다. nF(나노) 단위에서는 일반 필름 콘덴서가 주로 사용되며 재질에 따라 폴리에틸렌(스치롤 콘덴서),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텔(마일러 콘덴서)로 나누어진다.

출처 - ​콘덴서 [condenser] (오디오 용어사전, 2013. 3. 4., 새녘출판사)

 

​2.커페시터(=콘덴서) 읽는방법

 

3.커페시터(=콘덴서)의 용도

-커플링 : 직류 + 교류신호가 있는 상태에서 교류신호만 통과시키는 기능

ex)

 

 <-회로는 AC만 통과시켜 Power라인에 전송하고

나머지 저주파와 DC성분들은 아랫단으로 보내는 회로다.

 

 

 

 

 

 

 

 

 

-발진: 충전,방전을 반복하여 과도 파형을 맏늘어 내는 동작.

난이도가있어 좀더 공부후 블로깅하겠다..

 

-완충: 보조 배터리처럼 전압을 충전하여 전류로 출력하는기능.

          일반적으로 전원부와 출력부의 거리가 멀때 출력부에 달아주는 커페시터다

         주로 전해콘덴서같은 높은 용량의 콘덴서를 사용하고 출력부근처에 달아준다.

 

-평활: 맥류신호를 진류로 일정하게 만들어주는 기능 (!!!맥류신호란:AC성분이포함된 직류성분,깨끗하지못한 DC)

-바이패스:  회로 중간중간에 그라운드에 달려이는 작은용량의 콘덴서들은 주로 바이패스용이다.

                  신호선이나 전원라인에 포함된 높은 주파수의 잡음을 그라운드로 흘려버리는 용도로 사용한다.

 

c1,c3:커플링

c2:바이패스

 

 

 

 

 

 

 

 

 

 

 

 

 

 

 

 

 

4.콘덴서의 종류

-칩콘덴서 : 바이패스용으로 주로 사용하며 발진용도로도 사용하며 극성이 없음.

                세라믹,탄탈 콘덴서등이 이에 해당됨.

-세라믹콘덴서 : 발진,바이패스,커플링에 사용되며 주로 용량이 작고 극성이 없음.

                     머리쪽에 검은점이 있으면 온도보상형 세라믹콘덴서이고 바이패스용은 모노세라믹콘덴서를 주로 사용한다.

                     (?온도보상형: 온도에따른 성능변화가 생김)

-마일러콘덴서 : 세라밍콘덴서 용량높은 버전이라 생각하면 된다. 주로 AC전원부 고용량 콘덴서로 사용한다.

           비슷한용도로 필릅콘덴서,고압콘덴서가 있따.

           DC용으로 나오는 제품이 있는데 그럴경우 AC에 사용할수없다.

            

-전해콘덴서 : 고용량의 전하를 충전할수있으며 극성이 존재하고 평활,커플링,완충용 용도로 사용한다.

-그외에 고체콘덴서,울트라콘덴서등이있으며 특수활용콘덴서들이다.

 

 

 

5.콘덴서 선정하기

-전압선정 : 양단전압의 1.5배 이상으로 선정한다.

               ex) 20V전원의 회로에서는 30V를 사용해줘야한다.

 

-온도설정 : 온도는 85도와 105가 있는데 건물내부에 설치되어 이동하지 않는 제품이라면 85도

               나머지는 105로 보면된다.

 

-Q : 쿨롱으로 최대충전전류를 계산하여 회로에 적용시킨다.

Posted by 여동동

1. 저항이란?

 

저항이란 말 그대로 전기의 흐름을 방해하는 부품입니다. 즉 전기의 흐름에 ‘저항(Resist)’한다는 의미에서 나온 단어입니다. 저항은 전기회로 안에서 전기의 흐름을 제한하여 회로 안에서의 전류(또는 전압)의 크기를 바꿉니다. 전류 또는 전압의 크기를 바꾼다는 말은 저항을 통과한 전기의 흐름에서 전압또는 전류의 크기가 바뀐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저항 자체가 제한하는 것은 전기의 흐름 즉, 전류이지만 그 결과로 저항을 통화하면 전압이 떨어지는 결과를 가져옵니다. 이때 저항과 전압과 전류의 관계는 가장 기본적인 전기 공식인 V=I x R로 표시할 수 있으며 저항의 크기 단위는  Ω으로 표시하고 오옴(ohm)으로 읽습니다. 실제 회로에서 사용되는 저항의 범위는 0Ω에서 수M(메가)Ω에 이르기까지 다양합니다.

 

 

2. 저항띠 읽기

 

저항띠 순서는 저항끝단에 가까운쪽이 첫뻔째순서이다 6Bans띠의경우 첫번째띠찾기가좀 어려울수있는데 자세히보면

어느한쪽이 끝단에 가깝다.

 

 

 

3.저항의 종류

​저항의 종류는 칩저항,일반저항,와트저항,시멘트저항,어레이,가변저항등으로 나타낸다.

-칩저항: 칩저항은 W(와트)허용치,크기,오차를 보고 선정하는데 W는 1/8W,1/4W,1/2W로 나뉘어지고 길이로 판단한다

           크기에 따른 종류로는 01005,0201,0402,0603,0805,1206,1210,1812,2010,2512로 나눈 inch별 수치와

                                      0402, 0603,1005,1608,2012,3216,3225,4532,5025,6432로 나눈 mm별 수치가있다.

           오차는 특수저항으로 다양하게 양산하지만 주로 J급(5%) , F급(1%)가 대표적이다.

 

 

-일반저항(=탄소피막저항) : 와트허용치는 칩저항과 비슷하게 1/8W,1/4W,1/2W수준으로 판매되고 저렴하며

                                  크기가 크고 오차도 큰게 특징이다.  J급(5%) , F급(1%)이 대표적이지만 오차종류가 많다.

-와트저항(=금속피막저항) : 생긴건 일반저항과 비슷하나 온도와 와트허용치를 강화한 제품이다.

                                  1W ,2W를 주로 사용하며 굵기와 길이로 구분할수있다.(1W = 길이 약3mm, 2W = 길이 약6mm)

                                  전력용량은 계산치의 1.25배로 설정하는게 안정적이다.

 

-시멘트저항(=권선형 저항) : 시멘트저항은 정전기 유도성분이 있어 주파수높은회로에는 사용하면 안되지만

                                   높은 전력용회로에 사용한다 내구성와 신뢰도가 뛰어나며

                                   전령용량은 계산치의 1.5배를 사용해야 안정적이다.

 

그외 어레이,가변저항 등이있다.

 

 

 

 

Posted by 여동동

1. 회로도(cad 파일및 PDF 파일)
2. PCB Artwork 파일(CAD 파일및 PDF 파일)
3. PCB 제작을 위한 gerber 파일.
4. 기타 PCB 주문사양을 정리한 정보.(재질, 층수, 두께, 표면처리 방법등...)
5. 부품리스트및 부품 구입처를 정리한 정보(BOM)
6. MCU가 사용된다면 software 개발 tool 및 설치, 컴파일, 프로그램 다운로드에 대한 정보.
7. 대략적인 software flow 에 대한 설명을 담은 문서 또는 software 동작에 대한 설명 및 교육.
8. 제품 동작및 사용법에 대한 설명자료.
9. 제품 생산시 필요한 조립및 설정, 교정 방법에 대한 설명자료.

Posted by 여동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