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커페시터(=콘덴서)란..
콘덴서란 간단하게 전압을받아 충전을한후 전류를 밀어주는 작용을하며 직류는 흐르지 못하게 하지만 교류는 통하게 하며 용량이 클수록, 그리고 주파수가 높을수록 잘 통하게 된다. 용량 단위는 F(패럿)이지만 그 단위가 너무 커서 pF(피코), uF(마이크로)의 단위를 주로 쓴다. pF 단위의 콘덴서는 세라믹 콘덴서, 적층 세라믹 콘덴서, 마이카 콘덴서가 있고 음질은 마이카 콘덴서가 가장 좋다. nF(나노) 단위에서는 일반 필름 콘덴서가 주로 사용되며 재질에 따라 폴리에틸렌(스치롤 콘덴서),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텔(마일러 콘덴서)로 나누어진다.
출처 - 콘덴서 [condenser] (오디오 용어사전, 2013. 3. 4., 새녘출판사)
2.커페시터(=콘덴서) 읽는방법
3.커페시터(=콘덴서)의 용도
-커플링 : 직류 + 교류신호가 있는 상태에서 교류신호만 통과시키는 기능
ex)
<-회로는 AC만 통과시켜 Power라인에 전송하고
나머지 저주파와 DC성분들은 아랫단으로 보내는 회로다.
-발진: 충전,방전을 반복하여 과도 파형을 맏늘어 내는 동작.
난이도가있어 좀더 공부후 블로깅하겠다..
-완충: 보조 배터리처럼 전압을 충전하여 전류로 출력하는기능.
일반적으로 전원부와 출력부의 거리가 멀때 출력부에 달아주는 커페시터다
주로 전해콘덴서같은 높은 용량의 콘덴서를 사용하고 출력부근처에 달아준다.
-평활: 맥류신호를 진류로 일정하게 만들어주는 기능 (!!!맥류신호란:AC성분이포함된 직류성분,깨끗하지못한 DC)
-바이패스: 회로 중간중간에 그라운드에 달려이는 작은용량의 콘덴서들은 주로 바이패스용이다.
신호선이나 전원라인에 포함된 높은 주파수의 잡음을 그라운드로 흘려버리는 용도로 사용한다.
c1,c3:커플링
c2:바이패스
4.콘덴서의 종류
-칩콘덴서 : 바이패스용으로 주로 사용하며 발진용도로도 사용하며 극성이 없음.
세라믹,탄탈 콘덴서등이 이에 해당됨.
-세라믹콘덴서 : 발진,바이패스,커플링에 사용되며 주로 용량이 작고 극성이 없음.
머리쪽에 검은점이 있으면 온도보상형 세라믹콘덴서이고 바이패스용은 모노세라믹콘덴서를 주로 사용한다.
(?온도보상형: 온도에따른 성능변화가 생김)
-마일러콘덴서 : 세라밍콘덴서 용량높은 버전이라 생각하면 된다. 주로 AC전원부 고용량 콘덴서로 사용한다.
비슷한용도로 필릅콘덴서,고압콘덴서가 있따.
DC용으로 나오는 제품이 있는데 그럴경우 AC에 사용할수없다.
-전해콘덴서 : 고용량의 전하를 충전할수있으며 극성이 존재하고 평활,커플링,완충용 용도로 사용한다.
-그외에 고체콘덴서,울트라콘덴서등이있으며 특수활용콘덴서들이다.
5.콘덴서 선정하기
-전압선정 : 양단전압의 1.5배 이상으로 선정한다.
ex) 20V전원의 회로에서는 30V를 사용해줘야한다.
-온도설정 : 온도는 85도와 105가 있는데 건물내부에 설치되어 이동하지 않는 제품이라면 85도
나머지는 105로 보면된다.
-Q : 쿨롱으로 최대충전전류를 계산하여 회로에 적용시킨다.
'하드웨어 > Hardware The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항이란?, 저항띠 읽기, 저항의종류 (0) | 2021.10.08 |
---|---|
Hardware 외주 개발 시 받아야할 자료 (0) | 2021.10.06 |